전체 글41 Container 사전지식 / 리눅스, 권한, 컨테이너, 파일, 시스템콜 Kubernetes와 그 구성요소 중 하나인 Container를 공부하기 전에 너무 막막했던 적이 있다. Container가 뭔지 공부하기 전에 기본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것들을 찾아 정리해봤다. 시스템콜 컨테이너는 대부분 리눅스OS를 이용하고 파일접근, 네트워크이용 등등이 필요하면 커널에 접근이 필요 사용자가 커널에 요청을 보낼 때 시스템콜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출 유저가 프로그래밍을 하며 확인해볼 수 있는 것으로 Golang syscall도 그 중 하나 https://pkg.go.dev/syscall syscall package - syscall - Go Packages StringByteSlice converts a string to a NUL-terminated []byte, If s contains.. 2023. 1. 1. Kubernetes Components (Worker Node) / 쿠버네티스 컴포넌트, 워커 노드, 노드 컴포넌트 Kubernetes Node Components Control-plane component를 볼때 확인했던 Kubernetes component 구성요소이다. Worker node component로 해당되는 것들은 그림에 따로 빨간색으로 표시해둔 것들이다. - kubelet 각 노드에서 실행되는 agent 노드의 파드, 컨테이너들의 실행을 보장하도록 관리해주는 컴포넌트 파드의 상태(스케줄링, 모니터링, 종료 등)를 kube-apiserver에 지속적으로 전달 - kube-proxy 각 노드에서 실행되는 네트워크 프록시, 서비스의 구현부 네트워크 규칙을 관리, 클러스터 외부에서 파드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 원래는 userspace에서 proxy동작을 하기때문에 이름이 이렇게 붙여졌지만, kernelspa.. 2022. 12. 28. Kubernetes Components (Control plane) / 쿠버네티스 컴포넌트, 마스터, 컨트롤 플레인 Kubernetes Control-plane Components kubernetes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kubernetes component 구성요소이다. Control-plane component로 해당되는 것들은 그림에 따로 빨간색으로 표시해둔 것들이다. - kube-apiserver 말그대로 kubernetes 클러스터에 사용되는 api server client로 부터 오는 요청을 처리 단순히 요청을 받는것 뿐만이 아니라, kubelet으로 pod생성, pod정보 가져오기 등의 요청을 보내기도 함 - etcd key-value 로 이뤄진 storage API서버와만 통신이 이뤄지고 명세를 저장하는데 사용 데이터 정합성과 같은 이유로 쿼럼(Quorum)처리를 위해 홀수개로 운영 - ku.. 2022. 12. 27. Kubernetes Readiness Probe / 쿠버네티스 healthcheck, pod ready state Kubernetes Readiness Probe 앞서 Ingress에 대해서 정리할때 Pod는 서비스에서 endpoints들로 관리된다고 정리한 적이 있음 (참고) 2022.12.25 - [개발/개발공부] - Kubernetes Ingress /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정리 Kubernetes Ingress /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정리 Ingress? 클러스터 외부에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NodePort, LoadBalancer, Ingress 등이 존재 - ClusterIP cluster-internal IP를 노출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netfilter설정이 필요 - NodePort 고 dev-chicken.tistory.com 하지만 Pod가 새로 생성됐을 때 requests를.. 2022. 12. 25. Kubernetes Ingress / 쿠버네티스 인그레스 정리 Kubernets Ingress 클러스터 외부에서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은 NodePort, LoadBalancer, Ingress 등이 존재 - ClusterIP cluster-internal IP를 노출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netfilter설정이 필요 - NodePort 고정 포트로 각 노드의 IP를 서비스에 노출 노드가 사라졌을 때 자동으로 다른 노드를 통해 접근 불가능 변경사항 발생시 직접 반영 - LoadBalancer LB통해서 서비스를 외부에 노출 각 서비스별 자체 IP주소와 LB연결이 필요 서비스별로 LB를 붙여야해서 비용이 증가 - Ingress 여러 서비스를 하나의 Ingress로 노출 가능 request 받아서 어느 서비스로 보낼지 결정 (참고)각각 차이에 대해 .. 2022. 12. 25. 이전 1 ··· 4 5 6 7 다음 반응형